이슈트래커 YONA 사용하기(1) - 개요 및 설치
June/개발도구

이슈트래커 YONA 사용하기(1) - 개요 및 설치

1. 개요

YONA라는 이슈트래커는 개발하다보면 한 번씩 접해보았을 것이다.
YONA는 오픈소스인데 Git 코드 저장소 역할도 한다.
Yona를 직접 사용한지 1년정도 되었는데 굉장히 협업하기에 좋은 구조이다.
이슈를 생성하여 담당자와 마감일을 지정하고, 이슈 공유는 sub task까지 생성할 수 있다.
거기에 메일과 연동하여 글이 바뀌거나 새 글이 등록 될 때마다 알람을 받을 수도 있다.

현재 마이다스아이티에서는 일부는 Jira를, 일부는 Yona를 사용하고 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지만 웹솔루션운영팀의 경우 필요한 여러 요청들을 요나로 받고 있다.
그렇게 되면 사업팀, 기획팀, 개발팀 모두가 이슈를 공유할 수 있고,
우리도 요나 상에서 바로바로 업무를 할당할 수 있어 굉장히 용이하다.

2. 설치

1) DB 정하기

Yona를 사용하기에 앞서서 어떤 DB를 사용할 지 정한다.
Yona는 H2(내장형) DB와 Maria DB를 사용하는데, 자체적으로 Maria DB를 권장한다.

현재 마이다스아이티에서는 H2 DB를 사용하고 있는데, 데이터가 많아질 수록 코드 저장소로 쓰기에는 너무 지연이 발생하여 Maria DB를 추천한다.
(현재 데이터가 너무 많이 싸여서 Maria DB 이전도 쉽게 도전하기가...)

2) YONA 설치하기(linux)

  • Yona 1.9.1 download

conf 파일이 생기면서 오류 발생 그리고 한번 더 시작해 주면 정상적으로 켜진다.
정상적으로 실행 되었다면, localhost의 9000번 포트로 접속해보자!